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41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413개 세 글자:1,383개 네 글자:1,843개 다섯 글자:1,139개 여섯 글자 이상:2,070개 모든 글자:6,849개

  • : (1)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미터 정도이고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장상 복엽이다. 여름에 자주색의 잔꽃이 뭉쳐 피고 가을에 열매가 검게 익는다. 뿌리나 줄기의 껍질은 오갈피라고 하며 약용한다. 숲속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2)다섯 채의 집. 또는 다섯 세대. (3)다섯 사람의 명인(名人). (4)선종의 다섯 종파. 임제종, 위앙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이다. (5)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현존하는 다섯 작품.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부가>, <적벽가>의 다섯 마당을 이른다. (6)다섯 가지 중요한 곡식. 쌀, 보리, 콩, 조, 기장을 이른다. (7)온갖 곡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8)인도 음악에서 리듬 악기를 중심으로 활기 넘치는 연주를 구사하는 반주법. 고도의 기교가 필요하며, 리듬 악기를 복수로 사용한다.
  • : (1)각이 다섯 개 있는 것. (2)다섯 개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 도형. (3)본각ㆍ시각ㆍ상사각ㆍ수분각ㆍ구경각 또는 중생각(衆生覺)ㆍ성문각(聲聞覺)ㆍ삼승각(三乘覺)ㆍ보살각(菩薩覺)ㆍ불각(佛覺)의 다섯 가지 깨달음. (4)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
  • : (5)원자핵에 묶여 있는 궤도 전자의 다섯 번째 층.
  • : (1)조선 시대에, 을사사화를 일으킨 다섯 사람. 이이의 ≪동호문답(東湖問答)≫에 나오는 말로, 정순붕ㆍ윤원형ㆍ이기ㆍ임백령ㆍ허자를 이른다. (2)다섯 가지의 간하는 방법. 휼간ㆍ장간(戇諫)ㆍ강간(降諫)ㆍ직간ㆍ풍간이 있다. (3)병의 원인을 오장(五臟)과 결부하여 다섯 가지로 나눈 간질. (4)한낮을 중심으로 한 한동안.
  • : (1)‘오가리’의 준말.
  • : (1)‘오감하다’의 어근. (2)오장(五臟)과 결부하여 다섯 가지로 나눈 감병(疳病). (3)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 (4)‘성’의 방언
  • : (1)예전에 서울 근처의 중요한 나루가 있던, 다섯 군데의 강가 마을. 한강, 용산, 마포, 현호(玄湖), 서강(西江)을 이른다. (2)중국 안후이성(安徽省) 동쪽 끝, 양쯔강(揚子江)에 접하여 있는 도시. 항우가 한(漢)나라 고조에게 패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곳으로 유명하다. ⇒규범 표기는 ‘우장’이다. (3)양쯔강(揚子江)의 지류(支流). 구이저우고원(貴州高原)에서 시작하여 충칭(重慶) 동쪽을 거쳐 양쯔강으로 흘러든다. 길이는 900km. ⇒규범 표기는 ‘우장강’이다. (4)‘요강’의 방언
  • : (1)마음을 덮어 선법(善法)을 할 수 없게 하는 다섯 가지 번뇌. 탐욕이 마음을 덮는 탐욕개(貪慾蓋), 분노가 마음을 덮는 진에개(瞋恚蓋), 마음이 흐려지는 수면개(睡眠蓋), 마음이 요동하고 근심이 생기는 도회개(掉悔蓋), 법에 대하여 결단 없이 미루는 의법개(疑法蓋)가 있다.
  • : (1)다섯 수레에 실을 만한 책이란 뜻으로, 많은 장서(藏書)를 이르는 말. (2)더러운 도랑. (3)고대 로마 시대에, 새의 울음소리나 날아가는 방향 따위를 보고 나랏일의 길흉을 점치던 제사장이나 관리. (4)중국 춘추 시대 때 초영왕(楚靈王)의 책사(?~?). 야심이 컸던 초영왕을 보필하여 즉위를 시키고 오씨(伍氏)가 초나라에서 득세를 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자신이 죽고 나서 간신 비무극(費無極)으로 인해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당하였다. (5)흙이나 목재 따위에 구멍을 뚫는 기구. 송곳, 드릴 모양의 날 끝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
  • : (1)고려 시대에, 남자들이 많이 쓰던 쓰개의 하나.
  • : (1)다섯 가지의 잘못된 생각. 신견(身見), 변견, 사견(邪見), 견취견, 계금취견을 이른다. (2)잘못된 견해.
  • : (1)잘못 결정하거나 결재함. 또는 그런 결정이나 결재.
  • : (1)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각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하룻밤을 다섯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맨 마지막 부분. 새벽 세 시에서 다섯 시 사이이다. (3)발해 선왕 때 둔 행정 구역. 상경 용천부,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東京龍原府), 서경 압록부(西京鴨綠府), 남경 남해부(南京南海府)를 이른다. (4)선천적으로 원기(元氣)가 허하거나 풍사(風邪)를 받아서 어린아이의 손, 다리, 허리, 살, 목의 다섯 곳이 뻣뻣하여지는 증상. (5)유학의 다섯 가지 경서.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가 있다. (6)구약 성경의 처음 다섯 권.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이른다. (7)오식(五識)으로 깨닫는 다섯 가지 대상. 빛, 소리, 냄새, 맛, 닿는 느낌이다. (8)검은 빛깔의 수정 알을 박은 안경. (9)속 깊은 곳. (10)심오한 경지. (11)깨달음의 경지.
  • : (1)속세에 있는 신자(信者)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 살생하지 말라, 훔치지 말라, 음란한 짓을 하지 말라, 거짓말하지 말라, 술 마시지 말라이다. (2)신라 화랑(花郞)의 다섯 가지 계율. 진평왕 때에 원광(圓光)이 정한 것으로, 사군이충ㆍ사친이효ㆍ교우이신ㆍ임전무퇴ㆍ살생유택을 이른다. (3)다섯 왕조가 자주 갈린 계세(季世)라는 뜻으로, 중국 후오대(後五代)를 이르는 말. (4)한낮에 우는 닭. (5)중생계의 생각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달은 세계. (6)닭 품종의 하나. 깃털, 살, 가죽, 뼈가 모두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주로 사육되었다. 충남 논산시 연산면 화악리에서 나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연산 화악리의 오계’이다. (7)잘못된 계책.
  • : (1)한 구(句)가 오언(五言)으로 된 고시(古詩). (2)이 년 반마다 벼슬아치의 근무 성적을 다섯 번 고과(考課)하던 일. (3)인생의 다섯 가지 괴로움. 생로병사(生老病死),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이다. (4)미계(迷界)의 다섯 가지 괴로움. 제천고, 인도고, 축생고(畜生苦), 아귀고(餓鬼苦), 지옥고(地獄苦)이다. (5)밀교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법구(法具)의 하나. 양 끝이 다섯 개의 가랑이로 된 금강저이다. (6)일식 때에 치던 다섯 개의 북. 청고(靑鼓), 적고(赤鼓), 백고(白鼓), 흑고(黑鼓), 황고(黃鼓)를 이른다. (7)임금이 정전에 있을 때 정오를 알리려고 치던 북.
  • : (1)다섯 가지 중요한 곡식. 쌀, 보리, 콩, 조, 기장을 이른다. (2)온갖 곡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여러’의 방언
  • : (1)거만하여 남에게 굽히지 아니하는 기질. 또는 그런 사람.
  • : (1)‘오금’의 옛말. (2)‘오금’의 방언
  • : (1)낮의 공양이라는 뜻으로, ‘점심’을 달리 이르는 말. (2)지네강의 절지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가늘고 길며, 여러 마디로 이루어져 그 마디마다 한 쌍의 발이 있다.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와 독을 분비하는 큰턱이 있고 눈은 없거나 네 개의 홑눈만을 가지고 있다. 축축한 흙에 살고 작은 벌레를 잡아먹는데 전 세계에 2000여 종이 분포한다. (3)말린 왕지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어린아이의 경풍(驚風), 파상풍과 구안괘사, 반신불수 따위의 중풍 증상에 쓴다.
  • : (1)복숭아, 자두, 살구, 밤, 대추의 다섯 가지 과실. (2)범서(梵書)에서 다섯 가지로 나누어 이르는 과실의 총칭. 복숭아ㆍ대추ㆍ살구 따위를 핵과(核果), 배ㆍ사과 따위를 부과(膚果), 콩ㆍ팥 따위를 각과(殼果), 솔방울ㆍ잣 따위를 회과(檜果), 야자ㆍ호두 따위를 견과(堅果)라고 한다. (3)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는 3~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공 모양으로 누렇게 익는다. 과육은 화장품 재료로 쓰고 덩이뿌리와 씨는 약용한다.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골패나 화투 따위로 혼자 하는 놀음. (2)다섯 가지 감각 기관. 눈, 귀, 코, 혀, 피부를 이른다. (3)천도교에서, 교인의 다섯 가지 수도 방법. 주문(呪文), 청수(淸水), 시일(侍日), 성미(誠米), 기도(祈禱)를 이른다. (4)승려나 불자가 밥을 먹을 때에 마음을 가라앉히고 항상 생각하지 아니하면 안 될 다섯 가지. 음식이 만들어질 때까지의 뭇사람의 노력과 시주의 은혜를 생각하며, 자신이 음식을 먹을 자격이 있는가를 생각하며, 나쁜 마음을 버리고 좋은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고 생각하며, 음식은 좋은 약이라고 생각하며, 음식을 먹는 것은 오로지 도를 깨닫기 위해서임을 생각하는 것을 이른다. (5)오안(五眼)으로 보는 것이 서로 다름에 따라 생기는 차이. (6)제일의제의 이치를 깨달아 견사(見思)의 번뇌를 끊는 공관(空觀)인 진관(眞觀), 청정한 몸으로 진사(塵沙)의 번뇌를 끊는 가관(假觀)인 청정관(淸淨觀), 무명(無明)의 번뇌를 끊고 크고 넓은 지혜를 얻는 중관(中觀)인 광대지혜관(廣大知慧觀), 진관과 청정관과 광대지혜관으로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는 비관(悲觀)과 중생과 함께 즐기는 자관(慈觀)의 다섯 가지. (7)예전에, 악공들이 쓰던 검은 관. (8)황샛과의 새. 몸의 길이는 96cm 정도이며, 대체로 검은색이고 부리와 눈 주위 및 다리는 붉은빛을 띤 누런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구릿빛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여름새로 시베리아 중북부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낸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먹황새’이다.
  • : (1)화투에서, 다섯 개의 광(光)을 모으면 되는 약. 솔, 벚꽃, 공산, 오동, 비의 스무 끗을 모두 모으는 것을 이른다. (2)중국 진나라 말기의 반란군 지도자(?~B.C.208). 진나라 이세 황제 원년(B.C.209)에 진승(陳勝)과 함께 농민 반란을 일으킨 후 가왕(假王)이 되었다. 부장인 전장(田藏)에게 살해되었다.
  • : (1)‘오괴하다’의 어근.
  • : (1)유학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의 바르지 못한 사귐. 세교(勢交), 회교(賄交), 담교(談交), 궁교(窮交), 양교(量交)를 이른다. (2)오륜(五倫)의 가르침. (3)화엄종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나눈 다섯 가지. 소승교, 대승시교(大乘始敎), 대승종교(大乘終敎), 돈교(頓敎), 원교(圓敎)이다. (4)신라 불교의 다섯 종파. 열반종, 남산종, 화엄종, 법상종, 법성종이다. (5)잘못된 교정.
  • : (1)굵은 실을 용수 모양으로 뜨고 그물 아가리에 둥근 테를 메운 뒤에 ‘十’ 자 모양의 긴 자루를 맨 어구(漁具). (2)심마니들의 은어로, 5년생 산삼을 이르는 말. (3)오구굿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에 보낼 때에 무당이 부르는 노래. (4)더러운 때. (5)제도할 때에 쓰는 기구의 하나. 두 갈래로 된 쇠붙이로, 끝을 까마귀 부리 모양으로 만들어 먹물이나 물감을 찍어 줄을 긋는 데에 쓴다. (6)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50cm이고 뿌리는 짧고 굵으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선 모양 또는 선상 피침 모양으로 부추의 잎과 비슷하다. 5~6월에 담자색의 작은 꽃이 총상 화서로 잎 사이에서 나온 가는 꽃줄기 끝에 밀착하여 피고 열매는 검푸른 장과(漿果)로 익는다. 덩이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 나는데 제주, 전남, 전북, 경남, 경북, 강원 등지에 분포한다.
  • : (1)나라를 그르침.
  • : (1)고려 시대에 둔, 전ㆍ후ㆍ좌ㆍ우ㆍ중의 다섯 군영(軍營). (2)조선 시대에, 임진왜란을 계기로 생긴 오군영에 속한 군대. (3)우리의 임금. (4)예전에, 신하가 자기의 임금을 이르던 말.
  • : (1)‘오금’의 방언 (2)‘주걱’의 방언
  • : (1)바둑에서, 빈 집이 다섯 집인 형세. 생긴 모양에 따라 곡오궁(曲五宮), 방오궁(方五宮) 등이 있다.
  • : (1)오구굿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에 보낼 때에 무당이 부르는 노래. ⇒규범 표기는 ‘오구’이다.
  • : (1)중국 왕망(王莽) 때에, 정부에서 물가를 균일하게 하여 빈부의 차가 너무 벌어지지 않도록 하던 다섯 가지 정책. (2)오음(五音)의 가락.
  • : (1)음악 파일 형식의 한 종류. 특허로 보호되지 않는 오픈 파일 형식으로 오그 보비스 파일의 확장자이다.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하고 기능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디지털 멀티미디어를 효율적으로 스트리밍하고 조작할 수 있다.
  • : (1)사람이 행하여야 할 다섯 가지 훌륭한 덕(德).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ㆍ신(信)이다.
  • : (1)바깥 세상을 인식하는 다섯 가지 감각 기관. 또는 그런 다섯 가지 기능. 시각을 일으키는 안근(眼根), 청각을 일으키는 이근(耳根), 후각을 일으키는 비근(鼻根), 미각을 일으키는 설근(舌根), 촉각을 일으키는 신근(身根)을 이른다. (2)번뇌를 누르고 깨달음의 길로 이끄는 다섯 가지 근원. 신근(信根), 정진근(精進根), 염근(念根), 정근(定根), 혜근(慧根)을 이른다. (3)다섯 뿌리로 한 냥쭝 되는 산삼의 품위.
  • : (1)‘오글거리다’의 어근. (2)‘오글거리다’의 어근.
  • : (1)무릎의 구부러지는 오목한 안쪽 부분. (2)아래팔과 위팔을 이어 주는 뼈마디의 안쪽 부분. (3)활의 밭은오금과 먼오금의 사이. (4)금, 은, 구리, 철, 주석의 다섯 가지 금속. (5)병이 있을 때 다섯 가지 맛의 음식을 금하는 일. 병이 힘줄에 있으면 신맛, 기에 있으면 매운맛, 뼈에 있으면 짠맛, 혈에 있으면 쓴맛, 살에 있으면 단맛의 음식을 금한다. (6)구리에 1~10%의 금을 섞은 합금. 빛이 검붉으며 장식용으로 쓴다. (7)‘적동’을 달리 이르는 말. (8)‘철’을 달리 이르는 말. (9)‘먹’을 달리 이르는 말.
  • : (1)‘오긋하다’의 어근.
  • : (1)중국 당나라의 사학자(670~749).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에 사관(史館)으로 들어갔으며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역사서 편찬에 종사했다. ≪무후실록(武后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 따위를 편찬하였다.
  • : (1)신라 때에 행하여지던 다섯 가지의 놀이. 금환(金丸), 월전(月顚), 대면(大面), 속독(束毒), 산예(狻猊)로, 최치원의 ≪향악잡영(鄕樂雜詠)≫에 전한다. (2)세(歲)ㆍ월(月)ㆍ일(日)ㆍ성신(星辰)ㆍ역수(曆數)를 통틀어 이르는 말. (3)일기(一紀) 12년이 다섯이란 뜻으로, 60년을 이르는 말. (4)동, 서, 남, 북, 중앙의 다섯 방향의 기(氣). 또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행(五行)의 기. (5)비 오고, 햇볕 나고, 덥고, 춥고, 바람 부는 다섯 가지의 날씨. (6)희(喜), 노(怒), 욕(欲), 구(懼), 우(憂)의 다섯 가지 감정. (7)병의 원인이 되는 풍(風), 한(寒), 서(署), 습(濕), 조(燥)의 다섯 가지 기운. (8)기뻐하는 일, 성내는 일, 근심하는 일, 생각하는 일, 무서워하는 일의 다섯 가지 정서 상태. (9)누린내, 단내, 비린내, 썩은 내, 향기로운 내의 다섯 가지 냄새. (10)옛날 중국에서 천자의 수레에 세우던 다섯 가지 색깔의 깃발. (11)부처 앞에 놓는 다섯 개의 공양 도구. 촛대 두 개, 화병 두 개, 향로 하나이다. (12)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병법가(B.C.440?~B.C.381).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魯)나라, 위(魏)나라에서 벼슬한 뒤에 초(楚)나라에 가서 도왕(悼王)의 재상이 되어 법치적 개혁을 추진하였다. 저서에 병법서 ≪오자(吳子)≫가 있다. (13)역한 냄새. (14)좋지 못한 분위기나 기운. (15)성난 기색. (16)능력은 부족하면서도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마음. (17)잘난 체하며 방자한 기운. (18)잘못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 : (1)‘발딱’의 방언
  • 꼿 : (1)‘벌떡’의 방언 (2)‘후딱’의 방언 (3)‘그만’의 방언
  • : (1)‘옻’의 방언
  • : (1)‘오래오래’의 방언
  • : (1)‘내년’의 방언 (2)구약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유다의 아들. 형의 대를 이어주는 것을 꺼려 하다가 하나님에게 죽음의 벌을 받았다고 한다.
  • : (1)잘못 바침.
  • : (1)염습할 때에 죽은 이의 머리털과 좌우의 손톱ㆍ발톱을 잘라 담는 다섯 개의 작고 붉은 주머니.
  • : (1)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의 다섯 가지 내장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온종일’의 방언 (2)‘온종일’의 방언
  • : (1)아랫사람의 부름에 대하여 대답할 때 하는 말. (2)아랫사람의 물음이나 부탁에 대하여 긍정하여 대답할 때 하는 말. (3)어떤 사실을 긍정하거나 다짐할 때 하는 말.
  • : (1)골프에서, 함께 경기하는 팀 구성원 가운데 최초로 타구하는 사람.
  • : (1)‘오늘’의 방언 (2)‘오늘’의 방언
  • : (1)‘오냐’의 옛말.
  • : (1)지지(地支)가 오(午)로 된 해. 갑오년, 병오년, 무오년 따위이다.
  • : (1)땅이 질어서 질퍽질퍽하게 된 곳.
  • : (1)‘오뇌’의 원말.
  • : (1)‘오늘’의 방언 (2)‘오늘’의 방언
  • : (1)뉘우쳐 한탄하고 번뇌함.
  • : (1)‘오누이’의 준말. (2)화살의 머리를 활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 ⇒규범 표기는 ‘오늬’이다.
  • : (1)힘살이 무르고 단단하지 못한 상태.
  • : (1)‘오늘’의 방언 (2)‘오늘’의 방언
  • : (1)‘오누이’의 준말.
  • : (1)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 (2)지금의 시대. (3)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에.
  • : (1)거문고를 탈 수 있는 다섯 가지 조건. 자리가 편안할 때, 똑바로 볼 수 있을 때, 뜻이 한가할 때, 정신이 상쾌할 때, 손가락이 견고할 때이다.
  • : (1)화살의 머리를 활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
  • : (1)‘온전히’의 방언 (2)화살의 머리를 활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 ⇒규범 표기는 ‘오늬’이다. (3)더러운 흙. 특히 오염 물질을 포함한 진흙을 이른다. (4)-니. (5)‘술래’의 방언
  • : (1)일본 무로마치 시대 고쓰치미카도 천황 때의 연호(1467~1469).
  • : (1)유진 글래드스턴 오닐, 미국의 극작가(1888~1953). 1936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초기에는 사실극을 쓰다가 나중에는 표현주의적 희극, 특히 잠재의식의 연극화를 시도하였다. 작품에 <수평선 너머로>, <안나 크리스티>가 있다. (2)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품종의 하나. 잎은 회색빛이 도는 녹색이고, 줄기는 붉은색이다. 개화 기간이 길며, 과실은 밝은 청색을 띤다.
  • : (1)어떤 사람이 말하는 사람 혹은 기준이 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움직여 위치를 옮기다. (2)어떤 사람이 직업이나 학업 따위를 위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옮기다. (3)수레, 배, 자동차, 비행기 따위가 말하는 이가 있는 쪽을 향하여 운행하다. (4)물건이나 권리 따위가 자기에게 옮겨지다. (5)관심이나 눈길 따위가 말하는 사람에게로 쏠리다. (6)소식이나 연락 따위가 말하는 사람이 있는 곳으로 전하여지다. (7)전기가 흘러서 불이 켜지거나 몸에 전하여지다. (8)운수나 보람, 기회 따위가 말하는 사람 쪽에 나타나다. (9)느낌이나 뜻이 말하는 사람에게 전달되다. (10)가고자 하는 곳에 이르다. (11)어떤 대상에 어떤 상태가 이르다. (12)일정한 목적을 가진 모임에 참석하기 위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위치를 옮기다. (13)건강에 해가 되다. (14)길이나 깊이를 가진 물체가 어떤 정도에 이르거나 닿다. (15)말하는 때나 시기에 이르다. (16)물체가 말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기울어지다. (17)비, 눈, 서리나 추위 따위가 내리거나 닥치다. (18)질병이나 졸음 따위의 생리적 현상이 일어나거나 생기다. (19)어떤 때나 계절 따위가 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나 가까운 미래에 닥치다. (20)어떤 현상이 어떤 원인에서 비롯하여 생겨나다. (21)어떤 현상이 다른 곳에서 전하여지다. (22)어떤 경로를 통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위치를 옮기다. (23)어떤 목적 혹은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말하는 이가 있는 곳으로 위치를 옮기다. (24)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가 말하는 이 또는 말하는 이가 정하는 기준점으로 가까워지면서 계속 진행됨을 나타내는 말. (25)‘외다’의 방언 (26)‘오디’의 방언 (27)물품을 주문하는 것. ⇒규범 표기는 ‘오더’이다. (28)고전주의나 신고전주의 건축에서 기둥과 지붕을 기본 단위로 한 형식. 기둥과 지붕의 특징에 따라 도리스식, 코린트식, 토스카나식, 이오니아식, 복합식으로 나눈다. ⇒규범 표기는 ‘오더’이다. (29)야구에서, 타석에 들어서는 순서. ⇒규범 표기는 ‘오더’이다.
  • : (1)법을 닦을 때에, 오대존 명왕을 모시는 동ㆍ서ㆍ남ㆍ북ㆍ중앙의 다섯 개의 단. (2)잘못 판단하거나 단정함. 또는 그런 판단이나 판정.
  • : (1)황달(黃疸), 곡달(穀疸), 주달(酒疸), 여로달(女勞疸), 황한(黃汗)의 다섯 가지 황달. (2)길이 동ㆍ서ㆍ남ㆍ북ㆍ중앙의 다섯 군데로 통함. (3)완전히 깨달음.
  • : (1)다섯 가지의 담증. 습담(濕痰), 풍담(風痰), 열담(熱痰), 조담(燥痰), 한담(寒痰)을 이른다.
  • : (1)잘못된 대답을 함. 또는 그 대답.
  • : (1)우리 당. (2)‘함화진’의 호.
  • : (1)‘어디’의 방언 (2)모든 물질에 널리 존재하여 물질을 구성하고 생성하는 지(地)ㆍ수(水)ㆍ화(火)ㆍ풍(風)ㆍ공(空)의 다섯 가지 큰 요소. (3)중국에서, 동진(東晉)이 망한 뒤부터 당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흥망한 다섯 왕조. 남조(南朝)의 송(宋), 제(齊), 양(梁), 진(陳)과 남북을 통일한 수(隋)를 이른다. (4)중국에서, 당나라가 망한 뒤부터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중원(中原)에 흥망한 다섯 왕조. 후량(後梁),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를 이른다. (5)≪예기(禮記)≫에 나오는 중국 상고(上古)의 다섯 왕조. 당(唐), 우(虞), 하(夏), 은(殷), 주(周)를 이른다. (6)지구 표면의 온도 차이를 기준으로 나눈 다섯 기후대. 열대와, 남북의 두 온대 및 두 한대로 나눈다. (7)‘사헌부’를 달리 이르는 말. 사헌부에 잣나무가 많아 까마귀가 많이 서식한 데서 유래한다. (8)‘오디’의 방언
  • : (1)물품을 주문하는 것. (2)고전주의나 신고전주의 건축에서 기둥과 지붕을 기본 단위로 한 형식. 기둥과 지붕의 특징에 따라 도리스식, 코린트식, 토스카나식, 이오니아식, 복합식으로 나눈다. (3)야구에서, 타석에 들어서는 순서.
  • : (1)유학에서 이르는 다섯 가지 덕(德). 온화ㆍ양순ㆍ공손ㆍ검소ㆍ겸양을 이르거나, 총명예지(聰明叡智)ㆍ관유온유(寬裕溫柔)ㆍ발강강의(發強剛毅)ㆍ제장중정(齊莊中正)ㆍ문리밀찰(文理密察)을 이른다. (2)병가(兵家)에서 무사가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덕. 지(智), 인(仁), 용(勇), 신(信), 엄(嚴)을 이른다. (3)고대 중국의 학설에서 만물을 만드는 다섯 가지 원소.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이른다. (4)천지의 다섯 가지 현상. 습(濕), 건(乾), 생(生), 성(成), 동(動)을 이른다. (5)비구가 갖추는 다섯 가지 덕. 포마, 걸사, 정계, 정명, 파악이다. (6)선정(禪定)에 들어간 보살이 처음으로 얻는 다섯 가지 덕(德). 생선취(生善趣), 생귀가(生貴家), 구승근(具勝根), 수남신(受男身), 억숙명(憶宿命)을 이른다. (7)석가모니가 아난(阿難)이 깨닫도록 한 다섯 가지 덕. 기특(奇特)한 법에 머물고, 불소(佛所)에 머물고, 도사(導師)의 행(行)에 머물고, 뛰어난 도에 머물며, 여래의 덕을 행함이다. 무량수경을 강설할 때에 상서로운 현상을 나타냄으로써 아난이 깨닫게 하였다. (8)‘오덕후’의 준말.
  • : (1)‘오디’의 방언 (2)‘어디’의 방언
  • : (1)생선의 살을 뼈째 으깨어 소금, 칡가루, 조미료 따위를 넣고 익혀서 응고시킨 음식. 원래 일본 음식으로서 으깬 생선 살을 대꼬챙이에 덧발라 구운 데서 비롯하였으며, 나무 판에 올려 찌거나 기름에 튀겨서 만들기도 한다.
  • : (1)다섯 개의 계단을 포괄하는 두 음(音) 사이의 거리. 완전5도, 증5도, 감5도 따위가 있다. (2)중생이 선악의 업보에 따라 가는 다섯 세계. 곧 천도, 인도, 축생도, 아귀도, 지옥도이다. (3)고려 현종 때에, 전국 십도(十道)를 고쳐 일곱 행정 구역으로 나눈 오도 양계 가운데 중부 이남의 다섯 구역.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 교주도, 서해도(西海道)를 이른다. (4)감탕칠을 하여서 바른다는 뜻으로, 가려볼 수 없게 흐리게 하거나 그렇게 가림을 이르는 말. (5)유생들이 유학의 도를 이르는 말. (6)번뇌에서 벗어나 부처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는 길. (7)불도의 진리를 깨달음. 또는 그런 일. (8)그릇된 길로 이끎. (9)‘오디’의 옛말. (10)-고도.
  • : (1)‘오도독’의 준말. (2)‘오도독’의 준말. (3)오석(五石)을 불에 태워 만든 독약. (4)조선 시대에, 중국 대명률에 의거하여 죄인을 처벌하던 다섯 가지 형벌. 태형(笞刑), 장형(杖刑), 도형(徒刑), 유형(流刑), 사형(死刑)을 이른다. (5)중국에서 행하던 다섯 가지 형벌. 묵형(墨刑), 의형(劓刑), 월형(刖刑), 궁형(宮刑), 대벽(大辟)을 이른다. (6)더러운 도랑이라는 뜻으로, 명예나 이름 따위를 더럽히는 일을 이르는 말. (7)잘못 읽거나 틀리게 읽음.
  • : (1)‘옴’의 방언 (2)‘옻’의 방언
  • : (1)‘오도미’의 준말.
  • : (1)돛대를 제외한 배의 높이. (2)‘오디’의 방언 (3)손잡이 두 개와 발 세 개가 달려 있는 옛날의 술잔. (4)예전에, 중국의 동쪽에 있다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5)검붉은 빛이 나는 구리. 오금(烏金)과 같은 광택이 있어 장식품으로 많이 쓴다. (6)현삼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넓은 심장 모양이다. 5~6월에 보라색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재목은 가볍고 고우며 휘거나 트지 않아 거문고, 장롱, 나막신을 만들고 정원수로 재배한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남부 지방의 인가 근처에 분포한다. (7)화투에서, 오동나무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11월이나 열한 끗을 나타낸다. (8)‘고둥’의 방언
  • : (1)‘오디’의 방언
  • : (1)‘오디’의 방언
  • : (1)‘오디’의 방언 (2)미나리아재빗과의 바꽃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전 세계에 약 200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투구꽃, 백부자, 지리바꽃, 한라투구꽃, 진돌쩌귀 따위의 23종이 기록되어 있다. (3)말린 오두의 덩이뿌리.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반신불수, 두통 따위에 쓴다. (4)바꽃의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독성이 많은 열성(熱性) 약재로, 심복통ㆍ관절통 따위에 쓰인다. (5)큰 자라의 머리라는 뜻으로, 장원으로 급제한 사람을 이르는 말. (6)서적의 본문 위의 난(欄)에 써 놓은 주해문(註解文).
  • : (1)‘노망’의 방언 (2)도가(道家)에서, 선인(仙人)이 금ㆍ목ㆍ수ㆍ화ㆍ토의 다섯 가지로 둔갑하여 없어진다는 술법.
  • : (1)‘오디’의 방언
  • : (1)혼인할 사람과 그 집안을 소개하는 내용을 적어서 사돈이 될 집안 사이에 주고받는 문서.
  • : (1)오죽(烏竹). 참대.
  • : (1)고대 그리스에서, 음악이나 춤에 맞추어 부르기 위하여 지은 복잡한 시. (2)근대 서양에서,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부치어 지은 서정시. (3)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미의 여신 프레이야의 남편. 멀리 여행을 떠나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고, 그의 아내 프레이야가 남편을 그리워하며 눈물을 흘리자 그 눈물이 바위에 떨어져 황금이 되었다고 한다.
  • : (1)스스로 깨달아 얻음.
  • : (1)위스턴 휴 오든, 영국 태생의 미국 시인(1907~1973). 신시 운동(新詩運動)의 대표적 시인으로 정치성이 짙은 사회주의적 시를 발표하였다. 작품에 <가죽을 쓴 개>, <크리오 찬가>가 있다.
  • : (1)‘오들거리다’의 어근.
  • : (1)고려 문종 때 둔 다섯 등급의 작위. 국공ㆍ군공, 현후, 현백, 개국자, 현남으로, 충렬왕 때 없앴다가 공민왕 때에 다시 공ㆍ후ㆍ백ㆍ자ㆍ남으로 두었으나 곧 없어졌다. (2)남편이 있는 여자의 다섯 가지 등급. 왕의 후(后), 제후의 부인(夫人), 대부의 유인(孺人), 선비의 부인(婦人), 일반의 처(妻)가 있다. (3)죽었을 때에 쓰는 칭호의 다섯 가지 등급. 천자의 붕(崩), 제후의 훙(薨), 대부의 졸(卒), 선비의 불록(不祿), 일반의 사(死)가 있다. (4)‘우리’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 : (1)뽕나무의 열매. (2)‘오지’의 옛말. (3)‘어디’의 방언 (4)대학원의 박사 과정을 마치고 나서 취업을 하지 못한 박사 실업자. (5)프로그램 또는 회로의 작업 결과로 생성되는 정보. (6)논리 요소나 논리 요소의 출력 채널과 같은 장치에서 얻는 데이터.
  • : (1)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최고의 신. 본디는 폭풍의 신이었으나 후에 군신(軍神), 농경(農耕)의 신, 죽은 사람의 신이 되었다.
  • : (1)한낮을 중심으로 한 한동안. ⇒규범 표기는 ‘낮때’이다.
  • : (1)작은 물건이 도드라지게 높이 솟아 있는 모양. ⇒규범 표기는 ‘오뚝’이다. (2)갑자기 발딱 일어서는 모양. ⇒규범 표기는 ‘오뚝’이다. (3)조금 높이가 있는 것이 움직이다가 딱 멎는 모양. ⇒규범 표기는 ‘오뚝’이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오로 끝나는 단어 (931개) : 솔페지오, 쇼오, 벤오, 하행 아르페지오, 래피드 아이오, 왕자오, 서오, 인디오 비디오, 항성 정오, 생오, 부동산 포트폴리오, 아니오, 지름종오, 치오, 요미오, 대스키피오, 그린 바이오, 불릿 포트폴리오, 디티오, 멍오, 포디 스튜디오, 프라 바르톨롬메오, 피델리오, 암 항원 일이오, 믹싱 스튜디오, 디지털 비디오, 브이오시티오, 디스팅치오, 피아이오, 자오 ...
오로 끝나는 단어는 93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오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41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